분류 전체보기
[C++] 동적 스트링 Part 2
안녕하세요? 수구리입니다. 저번 포스팅에서는 C 스타일의 string에 대해서 알아보았었습니다. 2021.08.24 - [C++] - [C++] 동적 스트링 Part 1 [C++] 동적 스트링 Part 1 안녕하세요? 수구리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Chapter 1장을 마무리하고 간단한 콘솔 프로그램인 직원 관리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책에 있는 예제 코드가 따로따로 적혀있어서 직접 한 tasddc.tistory.com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어서 C++의 string 클래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1.3 C++ std::string 클래스 의 함수와 기능은 비슷하지만 메모리 할당 작업을 처리해주는 기능이 들어있다. string 클래스는 std 네임스페이스에 속하며 헤더에 정의되어 있다..
[C++] 동적 스트링 Part 1
안녕하세요? 수구리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Chapter 1장을 마무리하고 간단한 콘솔 프로그램인 직원 관리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책에 있는 예제 코드가 따로따로 적혀있어서 직접 한눈에 보려고 파일을 한 번에 포스팅해두었습니다. 2021.08.23 - [C++] - [C++] 직원 관리 프로그램 만들기 [C++] 직원 관리 프로그램 만들기 안녕하세요? 수구리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C++의 유니폼 초기화에 대해서 알아보았었죠? 2021.08.20 - [C++] - [C++] 유니폼 초기화란? [C++] 유니폼 초기화란? 안녕하세요? 수구리입니다. 저번 포스 tasddc.tistory.com 그럼 이번 포스팅에서는 Chapter 2장으로 넘어가서 스트링과 스트링 뷰에 관련된 내용을 포스팅해보려..
[C++] 직원 관리 프로그램 만들기
안녕하세요? 수구리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C++의 유니폼 초기화에 대해서 알아보았었죠? 2021.08.20 - [C++] - [C++] 유니폼 초기화란? [C++] 유니폼 초기화란? 안녕하세요? 수구리입니다. 저번 포스팅에서는 C++ 이 객체 지향 언어인데 그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았었죠? 2021.08.20 - [C++] - [C++] 객체 지향 언어의 특성에 대하여 [C++] 객체 지향 언어의 특성에 대 tasddc.tistory.com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전에 Employee 클래스관련 예제들을 확장해서 직원 관리 콘솔 프로그램을 한번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실행화면부터 보겠습니다. 대충 이런 형태입니다. 우선 1번부터 0번까지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도록 대기상태이구요 해당 목록을 입력하..
[C++] 유니폼 초기화란?
안녕하세요? 수구리입니다. 저번 포스팅에서는 C++ 이 객체 지향 언어인데 그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았었죠? 2021.08.20 - [C++] - [C++] 객체 지향 언어의 특성에 대하여 [C++] 객체 지향 언어의 특성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수구립니다. 저번 포스팅에서는 C++의 고급기능 소개를 마치면서 auto 키워드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2021.08.20 - [C++] - [C++] 타입 추론에 대하여 [C++] 타입 추론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tasddc.tistory.com 이번 포스팅에서는 초기화를 하는 방식에 대한 내용인데요 조금 특이하게 초기화하는 유니폼 초기화 방식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유니폼의 단어 뜻은 제복, 복장이라는 뜻이죠? 제가 이해하기로는 여기서 말하는 유니폼은 C+..
[C++] 객체 지향 언어의 특성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수구립니다. 저번 포스팅에서는 C++의 고급기능 소개를 마치면서 auto 키워드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2021.08.20 - [C++] - [C++] 타입 추론에 대하여 [C++] 타입 추론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수구리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C++에서의 레퍼런스(참조) 방식과 예외처리에 대해서 알아봤었죠? 2021.08.19 - [C++] - [C++] 1.2.4 ~ 1.2.5 레퍼런스와 익셉션 [C++] 1.2.4 ~ 1.2.5 레퍼런스와 익 tasddc.tistory.com 이번 포스팅에서는 C++은 객체지향 언어라고도 하죠? 그 특징은 무엇인지 구체적인 예제와 함께 살펴보려고 합니다. 1.3 C++ 객체지향 언어 특성 C++가 C언어와 가장 큰 다른 점은 객체지향 언어라는 점이다..
[C++] 타입 추론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수구리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C++에서의 레퍼런스(참조) 방식과 예외처리에 대해서 알아봤었죠? 2021.08.19 - [C++] - [C++] 1.2.4 ~ 1.2.5 레퍼런스와 익셉션 [C++] 1.2.4 ~ 1.2.5 레퍼런스와 익셉션 안녕하세요? 수구리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C++의 const에 대해서 알아봤었죠? 지난 포스팅 참고! 2021.08.18 - [C++] - [C++] 1.2.3 const의 이해 [C++] 1.2.3 const의 이해 지난 포스팅에는 C++에서의 스트링.. tasddc.tistory.com 이번 포스팅에서는 C++의 타입 추론 키워드인 auto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바로 시작해보겠씁니다~ 1.2.6 타입 추론 표현식의 타입을 컴파일러가 스..
[C++] 1.2.4 ~ 1.2.5 레퍼런스와 익셉션
안녕하세요? 수구리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C++의 const에 대해서 알아봤었죠? 지난 포스팅 참고! 2021.08.18 - [C++] - [C++] 1.2.3 const의 이해 [C++] 1.2.3 const의 이해 지난 포스팅에는 C++에서의 스트링과 포인터 그리고 동적 메모리에 대하여 알아보았는데요. 2021.08.18 - [C++] - [C++] 1.2.1 ~ 1.2.2 스트링 & 포인터와 동적 메모리 [C++] 1.2.1 ~ 1.2.2 스트링 & 포인터와 동.. tasddc.tistory.com 이번 포스팅에서는 면접에서 단골 질문이라는 값-전달 방식과 참조 전달 방식에 대해서 알아보고 추가로 예외처리인 익셉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2.4 레퍼런스(참조) 참조를 사용하면 기존 ..
[C++] 1.2.3 const의 이해
지난 포스팅에는 C++에서의 스트링과 포인터 그리고 동적 메모리에 대하여 알아보았는데요. 2021.08.18 - [C++] - [C++] 1.2.1 ~ 1.2.2 스트링 & 포인터와 동적 메모리 [C++] 1.2.1 ~ 1.2.2 스트링 & 포인터와 동적 메모리 안녕하세요? 수구리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이니셜라이저 리스트에 대해서 알아봤었죠? 2021.08.17 - [C++] - [C++] 1.1.15 이니셜라이저 리스트 [C++] 1.1.15 이니셜라이저 리스트 안녕하세요! 수구리입 tasddc.tistory.com 이번 포스팅에서는 C++ 뿐만 아니라 JavaScript에서도 보았을 const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는 대표적인 객체지향 언어로 유명하죠! 따라서 매개변수로 const..
[C++] 1.2.1 ~ 1.2.2 스트링 & 포인터와 동적 메모리
안녕하세요? 수구리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이니셜라이저 리스트에 대해서 알아봤었죠? 2021.08.17 - [C++] - [C++] 1.1.15 이니셜라이저 리스트 [C++] 1.1.15 이니셜라이저 리스트 안녕하세요! 수구리입니다. 저번 포스팅에서는 반복문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2021.08.13 - [C++] - 1.1.14 반복문 1.1.14 반복문 안녕하세요? 수구리에요. 드디어 반복문까지 도착했습니다.! 이번 포 tasddc.tistory.com 이번 포스팅에서부터는 1.2절로 넘어와서 C++의 고급 기능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확실히 1.1절보다는 내용이 많고 제가 처음보는 개념도 등장하네요.. 그러면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복습 필수 1.2 C++의 고급 기능 이번 파트에서는 C++..
[C++] 1.1.15 이니셜라이저 리스트
안녕하세요! 수구리입니다. 저번 포스팅에서는 반복문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2021.08.13 - [C++] - 1.1.14 반복문 1.1.14 반복문 안녕하세요? 수구리에요. 드디어 반복문까지 도착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반복문의 기본 형태들에 대하여 알아보고, C++에서 특이한 반복문인 범위 기반 반복문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 tasddc.tistory.com 이번 시간에는 이니셜 라이저 리스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니셜라이저 리스트란? 라는 헤더 파일에 정의되어 있다. 이를 통해 여러 인수를 받는 함수를 쉽게 작성할 수 있다. vector에 저장할 객체의 타입을 지정할 때처럼 원소 타입에 대한 리스트를 로 묶어서 지정한다. 아래의 예제에서 이니셜라이저 리스트를 인수로 받는 함수..